WHAT?
최근 다크웹에서 우리나라 700여 아파트 단지 벽면에 달려있는 월패드 카메라를 해킹해 촬영한 영상이 유출되었음
월패드 뿐만 아니라 웹캠 등 홈네트워크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면 해킹에 의한 사생활 정보유출, 랜섬웨어 공격에 의한 홈네트워크 기기 기능 마비 등 일반 기업이나 기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이버 위협이 일반 가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음
대처 방법
1. IoT 장치 비밀번호 설정
사용자 입장에서 가장 손쉽게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이 비밀번호 설정
최근 영국 정부는 스마트홈 기기 보안 향상을 목적으로 제품 보안과 전기 통신 인프라 PSTI(Product Security and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Bill) 법안을 의회에 제출 : 디지털 디바이스 암호에 추측하기 쉬운 문자 설정을 금지하고 위반하는 기업에 벌금을 부과하겠다는 내용 ->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이 보안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
2. 기기 버전 최신 업데이트
해킹 사고는 이미 알려진 보안 취약점을 공격한 사례가 많음.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기업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보안 취약점에 대한 패치를 배포.
따라서 내가 사용하고 잇는 기기의 버전을 확인하고 최신 버전이 아니라면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음
월패드 뿐만 아니라 홈네트워크 IoT의 기기들도 주기적인 업데이트 필요
3. 정보보호 인증 확인
우리나라는 현재 IoT 기기에 대해 정보보호인증 제도 시행. 산업 발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민간의 자율적 보안성 강화 유도
인증받은 기업의 경우 자사 제품에 인증 마크를 부착하기 때문에 제품 구매 시 이를 확인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issue] NFT (Non-Fungible Token) (0) | 2021.12.09 |
---|---|
[IT issue] 빅데이터 (0) | 2021.12.08 |
[IT issue] 5G (0) | 2021.12.07 |
[IT issue] IoT (Internet of Things) (0) | 2021.12.06 |
[IT issue] 인공지능 (0) | 2021.12.05 |